전체 글
-
오디오 악세사리 (오디오용 멀티탭) 현명하게 검토하기오디오 관련 2017. 4. 23. 15:51
1. 전원 멀티탭, 전원 케이블, 아날로그 및 디지탈 케이블, 스피커 케이블, 각종 플러그 및 단자류를 멍청하게 호갱 안 당하고 구입하는 방법을 제안해 드립니다. 1) 구입하려는 제품이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유명한 제품인지, 한국시장에만 국한된 제품인지, 미국*영국* 유럽*일본을 들먹이는 짝퉁 중국산 삐리리 제품인지, 최종 생산품의 원산지가 어디인지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우리가 일본 오야이데에 OEM 납품한다는 중국 및 대만 업자가 있다면 100% 뻥입니다. 오야이데는 100% 일본산으로만 만들어 집니다. 비슷한 스토리에 당하지 마세요.) 2) 국내 정식 수입품이라면, 국내 대리점 가격이 얼마인지, 만약 해외직구나 직구대행시 국내에서 정품 구입가 보다50~60% 가격에 구입 가능하다면 ..
-
멀티탭 하나로 소리가 바뀌나????오디오 관련 2017. 4. 20. 00:58
좋은 멀티탭을 사용하면 소리가 정말 바뀌나??? : 그렇다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좋아지니까. 끈적이는 뉘앙스, 생생함, 사운드 스테이지, 맑아진 음의 순도, 다이나믹 밸런스, 스피드 감, 실키하게 뻗어가는 고음, 통통 튀는 중역, 사운드를 완성시키는 저역,,, 놀랄 정도다. . 왜 좋아지는가? : 오디오, 스피커 자작을 하면서 놀란 건 케이블(배선재 포함)의 그레이드에 따른 사운드 변화도 놀랍지만, 앰프 등에 부착된 단자류와 각종 케이블 등 시그날의 입출력 최종단에 사용되는 단자의 그레이드에 따라서 왜곡/감쇄/LOSS 되었던 소리가, 잃어 버렸던 소리가 되찾아지는 걸 경험해 왔다. . 멀티탭의 전원단자의 재질, 배선 케이블의 재질 등에 따라 정말 달라진다라 생각한다. 묻지마 벽체 콘센트 장착한 분들이 ..
-
오디오 단자, 케이블 일본 직구하기 & 짝퉁 소개오디오 관련 2017. 4. 3. 20:39
일본산 오야이데, AET, SAEC, ZONOTONE, 아크로링크 등등..... (참고로, 후지구라는 산업용 전선 비싸야 700엔/미터 짜리입니다. 속지 마시길~) 후루텍은 이제는 대만산으로 추정되나... 저가품은 가성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 후루텍 본사에 원산지, 구리 모선의 원산지를 물어 봤으나... 자세한 답변을 회피하는 부분입니다. 후루텍 OFC와 대만산 OFC가 소리가 틀려서 짐작컨데... OFC는 히타치꺼를 사용하고 후루가와의 PCOCC-A 단종후 대만산 UCOCC를 사용하지 않나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후루텍 전원선재로 SAEC의 TRIPPLE C와 아크로링크의 6N, 7N을 사용하는 전원선재가 출시되었습니다. 같은 대만생산 케이블 보다는 확실히 후루텍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
-
케이블의 허와 실오디오 관련 2017. 3. 19. 10:09
LC-OFC, PCOCC-A 등등 일본의 구리 정련기술은 케이블 재질의 순도와 가공방법에 더불어 반도체 공정에 알미늄 대신 구리 배선이 본격 사용되면서 극에 달했다고 생각한다. . . 해외 유명 오디오용 선재 메이커 상위 100여개 회사에 중상급 이상은 일본산 PCOCC 선재 등이 기본 적용되었고 중저가형 선재엔 대만산 구리선재가 모선으로 적용되곤 했다. . (생각해 봐라~ 당신이 환상에 젖어 수백, 수천 주고 산 케이블에 수십만원 짜리 케이블과 똑같은 후루가와 PCOCC-A가 들어가 있었다니... 마린린 몬로도 비키니를 입고 있어도, 밍크코트를 걸치고 있어도 몬로는 몬로일 뿐이다. 안 그래? 케이블 가공기술이 해외 유명 케이블 업체에 있을 것 같다구??? 아래에 부연 설명한다. 스즈미야 하루히가 머리를..
-
AES/EBU 디지탈 케이블 만들기오디오 관련 2017. 1. 14. 12:07
AES/EBU 디지탈 케이블(XLR)은 반드시 110옴 디지탈용 케이블을 사용해야 디지탈 전송시 왜곡/감쇄/로스를 예방할 수 있다. 아날로그용 XLR 케이블을 AES/EBU에 적용하면 그 결과는 끔찍하게 들린다. . 들어봤는데 아날로그 XLR 50옴 케이블과 AES/EBU 110옴 케이블의 차이를 모르겠다고??? 그냥 오디오 접어라. 그 귀 가지고 오디오를 즐기기엔 당신 귀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 . 아날로그용 오디오 케이블 : L,R 채널의 신호선재가 나란히 평행으로 구성 (50 옴 기준) . . 그러면, 디지탈용 110 옴 케이블은 뭐가 다른가 보자. L, R 채널 신호선재가 TWIST되어 있다. (110옴 구성) . . . 별거 아닌 거 같다고 무시하면 사운드의 왜곡, 로스, 감쇄효과로 개피 본다...
-
에이프릴뮤직 엑시무스 S1 탈태환골 시키기오디오 관련 2016. 12. 24. 13:17
S1은 여름용 앰프 중 하나 ** 장점 : 저역/중역/고역 밸런스 있게 잘 나온다 ** 단점 : 입체적인 스테이지가 그려지지 않는다! 뭐야 이거 ? ** 대책 : 여름용 앰프로 S200을 사용 예정 (M200은 발열이 너무 심하다 / 4월에도 선풍기 틀어야) 에이프릴 제품은 중역이 없고 클린&클리어 스타일 이란 평이 대부분이다. EXIMUS S1 역시 D 클라스 앰프라 전기료 조금 나온다는 장점 외엔 특징이 없는 반쪽 짜리 제품이다. 에이~ 무슨 말을 그렇게??? 국내외 리뷰도 좋다고 하고, 사용자들도 좋다고 하쟈너~??? 리뷰어 들이야 돈 처먹고 글 쓰는 거고 사용자들이 좋다는 말은 초짜거나, 자기가 가진 제품은 항상 좋다는 식의(?) 강박증 환자일 거다. 솔직히, 다시 묻는다. 순정 S1이 좋냐? 좋..
-
에이프릴 DP300 탈태환골 시키기오디오 관련 2016. 12. 10. 14:32
에이프릴 뮤직 제품은 중역이 빈약하고 저역이 강하며 클린&클리어 스타일이다 라는 평이 대세인데... 1) 사용된 저항, 전해 콘덴서류가 아주 빈약하다 (데일 저항 등에 일제 오디오 그레이드 전해 콘덴서라도 달아줄 필요가 있다) 2) 전깃줄 수준의 배선재, 묻지마 수준의 단자류 (특히, 열악한 배선재와 단자류로 인해 중역이 비고, 음색이 거칠어지고 뉘앙스는 사라지고 여운의 맛이 없어 거칠어 지며, 거칠기 때문에 그저 그런 클린 & 클리어로 들리기 때문이다.) 3) 사용된 PCB도 DIY 수준에서 벗어나질 못했다. (DP1/S1까지의 에이프릴도) 4) 입으로만 국산 하이엔드다. (정확하게는 엔트리 모델 수준이다.) 1) 전해 콘덴서류 교체 2) 배선재 교체 (오야이데 P..
-
oyaide online shopping오디오 관련 2015. 6. 19. 21:22
오야이데 102 SSC 신소재를 적용한 헤드폰/이어폰 케이블 HPC-26T V2 ヘッドフォン用 102SSC 平行ケーブル http://oyaide.com/catalog/products/p-4743.html 환율 감안시 현지시세 5천원/미터 수준 사운드 경향은 PCOCC-A에 가깝다. 투명하고 다이나믹 밸런스가 넓으며 스테이지 형성이 보다 자연스럽다. 반대로, 대만산 OCC선재의 약점은 스테이지 형성이 억지스럽다는 접이다. 실리콘 고무재질에 자석을 붙여 케이블 정리나 셔츠에 이어폰/헤드폰 케이블 고정시 사용코자 구입 자석힘이 의외로 약해서 셔츠가 약간만 두꺼워도 고정불가... 와이셔츠만 가능한가... ZERO AUDIO ヘッドホンクリップ (2個入り) http://oyaide.com/catalog/prod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