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오라 비비드 AURA VIVID CDP와 전원 케이블 교체오디오 관련 2018. 2. 7. 23:11
좌식 유투브 감상용 시스템에 플러스 해주는 용도로 구입한 염가형 CDP 오라 비비드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사운드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케이블 교체를 단행했다. 신호선재는 오야이데 포커스1 XLR 플러그에 오야이데 쯔나미 TERZO V2로 DIY 했다. 오야이데 알바들의 작업능력을 믿지 못해서 난 항상 DIY로 준비한다. 오야이데 완제품이라도 별거 없다. 오라 비비드 CDP의 전원 케이블은 아크로링크 7N-PC4020 애니버서리에 후루텍 금도금 IEC 플러그와 오야이데 무도금 P-029e 슈코 플러그로 세팅하였다. 소스기기는 전원선재의 업그레이드 영향을 아주 크게 받는다. 물론, 케이블 선재와 단자류를 오야이데/후루텍/아크로링크 등 국제적으로 공인된 제품을 사용했을 때 얘기다. . (중국산 짝퉁 단자에 ..
-
오라 비비드 (AURA VIVID) CDP 신품오디오 관련 2018. 2. 5. 14:27
오라 비비드 CDP의 중고 가격도 45~50만원 사이로 형성되어 있길래 중고로 구입할까 고민했지만, 중고매물로 나온 2개도 모두 지방 직거래 이길래 그냥 신품으로 질렀다. 신품도 70이면 구한다. 신품이 70이면, 중고시세는 35 정도 해야지 정상 아닌가? 이따가 저녁때 방문수령 예정이다. 제품 사진 / 인스톨 사진은 추후에 올릴 예정이다. . . 신품 박스 뜯는 즐거움? 그런거 없었다. 포터블 CDP 산 느낌이었다. 아크로링크 7N-PC4020 애니버서리 전원 케이블은 아직 연결 전이다. 220V용 슈코 플러그를 아직 구입하지 못했다. 순정 삐리리 전원 케이블로 오늘 대충 때우고, 내일은 오야이데 슈코 플러그로 구입할 예정이다. CDP에 기본 장착된 XLR 소켓은 그야말로 싸구려였다. 케이블이 아까울 ..
-
오야이데 팩토리 터미네이션 재작업오디오 관련 2018. 2. 5. 01:08
팩토리 터미네이션의 PCCOCC-A 재질의 XLR 케이블과 DIY로 제작한 102SSC 재질의 XLR 케이블 간의 뉘앙스 격차가 102SSC 우세로 아니 강세로 나와서,,, 팩토리 터미네이션의 품질 (냉납)을 의심하기에 이르렀다. . 팩토리 터미네이션의 케이블을 잘라내고 재작업했다. . 케이블을 니퍼로 끊어낸다. 다시 연결할 부위의 길이를 가늠해서 선재를 벗겨낸다. XLR플러그는 1번이 그라운드, 2번이 HOT, 3번이 COLD다. 쉐이드 케이블을 꼬아서 케이블 끝단에 납을 살짝 먹여 준다. XLR 케이블의 단자작업 키포인트는 1번의 그라운드 배선이 소켓의 금속 부위와 철저하게 절연되도록 작업을 해야 한다. 말이 그라운드라 표현했지, 신호라인의 기준전위가 맞는 표현이겠다. 가장 좋은 작업방법은 수축튜브로..
-
내가 생각하는 PCOCC-A와 102SSC오디오 관련 2018. 2. 4. 20:56
** 내가 생각하는 PCOCC-A와 102SSC . 아날로그 XLR 케이블을 기준한 비교다. . . ** PCOCC-A : 고역이 쭈욱 뻗어가다가 맨 끝에서의 ROLL OFF (심벌즈, 여성 보칼을 더욱 아름답게 만든다) 끈적거리는 중역 그러나 중음 및 저음은 고음에 비해서 살포시 무대 뒤로 물러나 있고 전대역이 여성스러우며, 음의 에지가 날카롭고 정확하게 표현이 된다. 스피커와 스피커 사이에 악기류 및 보컬이 입체감 있게 그려진다. PCOCC-A는 현대판 진공관 앰프와 매칭이 좋다라 생각한다. 진공관으로 치면 6BQ5, EL34의 느낌 (RCA케이블에서도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 ** 102SSC : 중역과 저역의 경계음이 PCOCC-A 대비 쏟아져 나온다. 중저역의 반응이 민첩하고, 사운드의..
-
후루가와의 PCOCC 케이블 관련오디오 관련 2018. 1. 30. 07:48
PCOCC와 TPC(일반 막동선) 비교 사진 사진 출처는 일본 cozy 스튜디오 . . PCOCC 케이블의 특징은 고역이 쭉쭉 뻣어 나가다가 맨 끝단에서는 돌돌 말리는 ROLL OFF가 있어서 여성 보컬이나 심벌즈 음이 여성스럽게, 아름답게, 샤이니하게 만들어 준다. 고역/중역/저역의 밸런스도 좋고 윤기가 좔좔 흐르고 소리의 분해능도 우수하며 끈적끈적 뉘앙스 있는 음색으로 완성해 준다. 제대로 만든 진공관 앰프나 TR앰프라면, 중역도 고무공처럼 통통 튀며, 저역 역시 위상 차나 속도의 뒤처짐 없이 팡팡 터뜨려 준다. 이런게 바로 PCOCC 케이블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생각한다. . , 「PCOCC」とは、「Pure Crystal Ohno Continuous Casting Process」 の略称です。 古河電気..
-
아크로링크 7N-P4020 애니버서리 & OYAIDE 쯔나미 TERZO V2 구입오디오 관련 2018. 1. 29. 23:27
아크로링크 7N-PC4020 애니버서리 전원 케이블에 남아도는 FURUTECH 염가형 금도금 IEC플러그 장착 일본 유저의 ACROLINK 전원 케이블의 사용 평은 7N-PC4020 애니버서리는 저역이 살짝 많이 나오는 특징이 있으며, 7N-PC4030 애니버서리는 밸런스 형이라 지적한 블로그를 보았다. 아직 CDP 구입 후 장착 전이라 뭐라 확인할 순 없지만, 며칠 후 CDP가 오면 그 지적이 맞는지 확인 가능하리라. 7N-PC4020 애니버서리를 장착 직접 사용해 보니, 저역 & 고역의 과다 없이, 아주 정확한 밸런스형이다. 7N선재 특유는 맑고 투명한 느낌에 끈적임까지 오디오적으로 필요로 하는 요소가 충분하게 갖춰져 있다. 오야이데나 조노톤, 후루텍 케이블보다 아크로링크가 돈값한다고 생각한다. 한마..
-
네오텍 & 오야이데(oyaide) 슈코 플러그 비교오디오 관련 2018. 1. 28. 12:13
** 엑시무스 S1의 파워 케이블 : 오야이데 베릴륨동 무도금 IEC 플러그 + 오야이데 쯔나미 NIGO V2 + 네오텍 저가 금도금 OFC 슈코 플러그 ** 사파이어용 전원 케이블 : 후루텍 안경 플러그 + 후루텍 314AG + 오야이데 무도금 슈코 플러그 (P-029e) ** 엑시무스 S1 파워의 사운드의 부족함이 계속 거슬려서 전원선재에 달린 네오텍 저가 금도금 슈코 플러그를 (사용량 거의 없는 사파이어 DAC에 사용하는 케이블의) 오야이데 무도금 슈코 플러그와 서로 바꿔서 교체해 주었다. ** 교체전 : 흰색 니고 케이블이 엑시무스 S1용이다. 서로 바꿔 준다. 사용량이 거의 없는 사파이어 DAC용 전원 케이블에서 오야이데 무도금 슈코 플러그 (P-029e)를 분리하여 교체해 주기로 한다. . ...
-
가난한 자는 DIY를 한다 (오야이데 Oyaide XLR 케이블)오디오 관련 2018. 1. 23. 23:51
1. 저렴한 CDP를 사려고 한다. 그래픽 작업을 하니, PC가 멈칫멈칫한다. (저장용 하드 디스크 01이 맛탱이 가기 직전이다. 물론 운영체제는 SSD에 그리고 그래픽 작업공간 전용 SSD가 별도로 있다.) PC대신 CDP에서 음악을 재생시키고, 그래픽 작업은 좀 더 편안하게 해보려고 한다. 물론, 다음 달에 하드디스크도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다. . 2. 저렴한 CDP로 오라 비비드 CDP를 선택했다. AES/EBU는 없어도, 밸런스 증폭의 아날로그 라인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날로그 XLR로의 연결이 기본 콘셉이다. 뮤지칼 피델리티 M6SCD도 대만산에 해외 리뷰 평가도 별로에 만듬새도 엉성,,, 이걸 살까 하다가 생각을 접고 중국 제조의 오라 비비드 사서 내 입맛에 맞게 입출력 라인만 교체해 ..